
통영항에서 남쪽으로 24킬로미터 바다 위에 위치한 연화도는
통영시 관내 유인도 가운데 제일 먼저 사람이 살기 시작한 섬으로 의미가 깊다.
'연화도'란 바다에 핀 연꽃이란 뜻인데, 실제로 북쪽 바다에서 바라보는 섬의 모습은 꽃잎이
하나하나 겹겹이 봉오리진 연꽃을 떠올리게 한다.
매끄러운 구석이라곤 없지만 그만큼 풍성한 입체감을 자아낸다.
지금으로부터 약 4백여년 전 이순신 장군과 거승 연화도사, 사명대사, 자운선사에 얽힌 전설이
역사적인 사실로 밝혀져 불교계의 중요한 유적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사방이 기암절벽에 둘러싸여
경관이 빼어난데다 연화도사가 비구니 3명과 함께 수도했다는 서낭당(실리암)과 도승들이 부처처럼
모셨다는 전래석(둥근 돌) 등 유물들이 산재해 있다.
이 섬에서 용이 대양(大洋)을 항해 헤엄쳐 나가는 형상인 용머리는 빼어난 절경이다.
오시는 길
- 대중교통
- 통영시외버스터미널 앞 시내버스(도남동, 봉평동방면 승차) → 서호동 비치호텔 앞 하차 → 여객선터미널까지 도보로 5분 정도 소요 → 여객선터미널에서 여객선 이용
- 통영시외버스터미널 앞 시내버스(산양 삼덕방면 승차) → 산양읍 삼덕항 하차 → 여객선 이용
- 자가교통
- 통영시 원문검문소를 지나 시내간선도로 진입 → 세종병원 앞 신호동에서 우회전 → 산복도로 좌회전 → 적십자병원에서 진입 → 산복도로(문화주유소 앞 신호등에서 직진) → 충렬사 앞 신호등에서 우회전 →시내간선도로 500미터 정도가면 사거리에서 해안도로쪽으로 좌회전 → 100미터 정도 지나 통영특산품 전시판매장 좌회전 → 100미터 앞에 여객선터미널 이용
- 통영시 원문검문소를 지나 시내간선도로 진입 → 충렬사 입구(직진) → 통영대교 → 미수·산양읍 방면 진입 → 산양읍 삼덕항 하차→ 여객선 이용
교통정보
- 통영여객선터미널 이용 안내 : (055) 641-6181, 642-0116~7
- 타는곳 : 통영 여객선 터미널
- 선명 : 욕지 1호 (http://www.yokjishipping.co.kr/)
- 여객선 시간표 및 요금 정보 보기
연화도
| |||||
연화도사를 봉양하던 제자들이 떠난 후 도사의 불심을 계승하기 위해 이 섬에 들어온 사명대사가 연화 도사의 뒤를 이어 수도했다고 한다. 대사를 찾아 헤매던 대사의 누이(보운), 약혼녀(보련), 대사를 짝사랑하다 수도승이 된 보월, 이 세 비구니는 대사가 떠난 후에도 이 섬에서 도를 닦아 득도하여 만사에 형통했다고 하며 이 세 비구니들을 자운선사라 한다. 이들은 후에 임진란이 발발할 것을 예측하고 이순신 장군을 만나 거북선 건조법, 해상지리법, 천풍 기상법 등을 알려 주었다. 면적 3.41㎢, 해안선길이 약 12.5㎞, 최고점 212m, 인구 274명(1999)이다. 일명 네바위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 이 섬에서 연화도사가 도를 닦다가 숨져 바다에 수장하자 곧 한 송이 연꽃으로 피어나 승화하였다는 전설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통영항에서 남쪽으로 24㎞ 해상에 위치하며, 북쪽에 우도(牛島), 서쪽에 욕지도(欲知島)가 있다. 본래 고성군에 속하였으나 1914년 통영군에 편입되었고, 1955년 욕지면에 편입되었다. 최고점을 이루는 연화봉(蓮花峰:212m)이 솟아 있고, 동쪽 해안에는 해식애(海蝕崖)가 발달하였다. 산 능선의 평탄한 지역에는 작은 취락이 이루어져 있고, 주요 농산물로 보리와 고구마가 생산되는데, 특히 고구마는 품질이 우수하다. 근해에서는 멸치·민어·참돔·갈치·문어·낙지 등이 어획되고, 김·굴 등의 양식도 활발하다. 잎이 좁은 풍란의 자생지이며, 동머리 주변과 서쪽의 촛대바위는 남해안의 갯바위 낚시터로 유명하다. 통영시 여객선터미널에서 1일 수차례 정기여객선이 왕복운항된다.
500여년 전 연화도에는,,,
|
'내맘에드는곳'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충북 명산 파노라마 (0) | 2011.03.08 |
---|---|
[스크랩] 충북 산 (0) | 2011.03.08 |
[스크랩] 가거대교(가덕도) (0) | 2011.01.12 |
[스크랩] 동해1박2일 (0) | 2011.01.12 |
[스크랩] 서해 1박2일 가족산행 (0) | 2011.01.12 |